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은

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 이다.

 

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사회,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교육 환경의 변화 등

공동체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.

 

학생들은 갖추어야 할 소양, 기술은 과연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?

 

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언급한 부분보다는 단위학교의 실정에 맞춘 교육과정의 재구성..

그러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겠지...

 

그리고 인구절벽의 시대에 교육과정 중심의 학습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더 강조해야겠지..
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교육을 강화해야 하고, 고교학점제도 이러한 맥락으로 이야기를 풀어야 할 것 같다. 

 

또한 앞서 언급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게 수업과 평가의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. 

 

앞으로의 교육은 디지털 기초 소양 함양과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신경을 써야할 때인 것 같다.

그리고 학습자가 주도하는 학습,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그려보는 교육과정을 통해 

자율성이 신장되고, 이를 통해 주도적인 사람으로 변화할 것으로 본다.

 

 

더보기

#include "stdio.h"
void main(void)
{
    int count = 0, t_count = 0, max;
    for (int i=1; i <= 5000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for(int j=1; j <= i; j++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if(i%j==0)
            count++;     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if(count==2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t_count++;
            max = i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count = 0;
    }
    printf("5,000까지의 소수 갯수 : %d\n", t_count);
    printf("5,000까지의 소수 중 가장 큰 수 : %d\n", max);
}

<결과> 

5,000까지의 소수 갯수 : 669

5,000까지의 소수 중 가장 큰 수 : 4999

더보기

#include <stdio.h>

 

int main(void){

 

    int a, b;

    int sum;

    

    for (a=1; a<10; a++)

    {

        for(b=1; b<10; b++)

        {

            sum = (a*10)+b + (b*10)+a;

            if (sum == 99)

                printf(" %d%d\n+%d%d \n--- \n %d\n\n", a, b, b, a, sum);

        }

    }

    return 0;

}

[result]

 

  18

+81 

--- 

 99

... 

import java.util.*;

class PlusMinus {
int plus, minus;
public String plus (int x, int y) {
plus = x + y;
return "(덧셈 결과) " + x + " + " + y + " = " + plus;
}
public String minus (int x, int y){
minus = x - y;
return "(뺄셈 결과) " + x + " - " + y + " = " + minus;
}
}

class MultiDiv extends PlusMinus{
int multi;
double div;
public String multi(int x, int y) {
multi = x * y;
return "(곱셈 결과) " + x + " * " + y + " = " + multi;
}
public String div(int x, int y){
div = (double) x / y;
return "(나눗셈 결과) " + x + " * " + y + " = " + div;
}
}

class cal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{
MultiDiv strin = new MultiDiv();
String plus, minus, multi, div;
System.out.print("덧셈과 뺄셈을 할 두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.(공란으로 구분): ");
Scanner x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um1 = x.nextInt();
int num2 = x.nextInt();
plus = strin.plus(num1, num2);
minus = strin.minus(num1, num2);
multi = strin.multi(num1, num2);
div = strin.div(num1, num2);
System.out.println(plus);
System.out.println(minus);
System.out.println(multi);
System.out.println(div);
}
}

(결과 예시)

덧셈과 뺄셈을 할 두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.(공란으로 구분): 22 11

(덧셈 결과) 22 + 11 = 33

(뺄셈 결과) 22 - 11 = 11

(곱셈 결과) 22 * 11 = 242

(나눗셈 결과) 22 * 11 = 2.0


public class Main {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int1 = {9,1,2,3,6,3,1,8,2}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 : " + Arrays.toString(int1));
Arrays.fill(int1, 5)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에 5 넣기 : " + Arrays.toString(int1));
Arrays.fill(int1, 2, 4, 6);
System.out.println("int1[2] ~ int[4]에 6 넣기 : " + Arrays.toString(int1));
Arrays.sort(int1)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의 정렬 수행 : " + Arrays.toString(int1))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의 6은 어디에? : " + Arrays.binarySearch(int1, 6));
int[] int2 = {5,4,3,2,1};
System.out.println("int2 배열: " + Arrays.toString(int2))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과 int2 배열이 같은가? : " + Arrays.equals(int1, int2));
int[] int3 = new int[5];
System.arraycopy(int2, 0, int3, 0, 5);
System.out.println("int1 배열을 int3 배열에 복사 : " + Arrays.toString(int3));
System.out.println("int2 배열과 int3 배열이 같은가? : " + Arrays.equals(int2, int3));
}
}

(결과 예시)

int1 배열 : [9, 1, 2, 3, 6, 3, 1, 8, 2]

int1 배열에 5 넣기 : [5, 5, 5, 5, 5, 5, 5, 5, 5]

int1[2] ~ int[4]에 6 넣기 : [5, 5, 6, 6, 5, 5, 5, 5, 5]

int1 배열의 정렬 수행 : [5, 5, 5, 5, 5, 5, 5, 6, 6]

int1 배열의 6은 어디에? : 7

int2 배열: [5, 4, 3, 2, 1]

int1 배열과 int2 배열이 같은가? : false

int1 배열을 int3 배열에 복사 : [5, 4, 3, 2, 1]

int2 배열과 int3 배열이 같은가? : true

import java.util.*;

public class Main {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Random ran = new Random();
int[][] score = new int[2][3];
for (int i = 0; i < 2; i++)
for (int j = 0; j < 3; j++) {
System.out.print("배열 score[" + i + "]" + "[" + j + "]의 난수 값은 :");
score[i][j] = ran.nextInt(10); // 0~9사이 정수 초기화
System.out.println(" " + score[i][j]);
}

for (int k = 0; k < 2; k++) {
int sum = 0;
for (int value : score[k]) {
System.out.print(value + " ");
sum += value;
}
System.out.println("의 합계는 " + sum);
}
}
}

(결과 예시)

배열 score[0][0]의 난수 값은 : 2

배열 score[0][1]의 난수 값은 : 1

배열 score[0][2]의 난수 값은 : 3

배열 score[1][0]의 난수 값은 : 7

배열 score[1][1]의 난수 값은 : 8

배열 score[1][2]의 난수 값은 : 8

2 1 3 의 합계는 6

7 8 8 의 합계는 23
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tring slist[] = {"Seoul", "Daejeon", "Pusan", "Kwangju"};
System.out.print("원래의 배열: ");
int i;
for (i = 0; i < slist.length; i++){
System.out.print(slist[i] + " ");
}
System.out.println();
System.out.print("역순된 배열: ");
for (i = slist.length-1 ; 0 <= i ; i--) {
System.out.print(slist[i] + " ");
}
}
}


(출력 예시)

원래의 배열: Seoul Daejeon Pusan Kwangju

역순된 배열: Kwangju Pusan Daejeon Seoul

java.lang.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오류는 


배열의 인덱스를 벗어날 때 오류가 발생한다. 



아래와 같이 예를 참고해 보자.


5번째 줄에 i <= slist.length 구문을 보면 ' = '이 표기되어 있는데 ' = '을 추가할 시 

6번째 줄에 slist[i]는 slist[3]이 되어 배열의 인덱스를 벗어난다.


오류를 없애려면 ' = '를 없애면 된다.!!  

 

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tring slist[] = {"Seoul", "Daejeon", "Pusan"};
System.out.print("slist 배열: ");
int i;
for (i = 0; i <= slist.length; i++){
System.out.print(slist[i] + " ");
}
}
}


+ Recent posts